사이트 로그인
◆ 무자극 검사(Non stress test)
외부 태아의전자감시기에 의해 태아 안녕을 확인하는 검사로 태통이 있을 시 태아 심음이 상승하면 태아의 정상상태를 의미한다.
♣ 방법
초음파 탐촉자를 산모의 복부에 부착하고, 매번 태동이 느껴질 때마다 산모로 하여금 버튼을
누르게 하면서, 기 록장치로 태아 심박수와 태동을 동시에 기록
(임신 주수가 진행될수록 태동이 있을 때, 심박수가 상승되는 태아의 비율이 증가하고,
상승의 정도도 증가한다.)
♣ 결과 해석
1) Reactive (Normal)
① 20분 검사동안, 태동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최소한 15초 이상 지속되는 분당 15회 이상의
태아 심박수 상승이 2회 이상
② 태동이 있건 없건 상관없이 심박수의 상승이 있는 경우에도 반응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
2) Nonreactive
: 40분 이상 관찰하여도 태동이 동반되는 태아 심박수 상승이 없는 경우
* 반응성 소실의 가장 많은 원인 - 수면 주기 (Sleep cycle)
- 태아가 수면 상태에 있을 수 있으므로 40분 이상 검사를 시행한 후 반응성이 없는
경우에 nonreactive 판정을 내린다.
* Nonreactive라고 해서 태아 곤란이라고 진단할 필요는 없다.
(위양성이 높고, 건강한 태아라 하더라도 오랜기간 움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, 비반응성
이 나오면 검사를 80분 or 120분으로 연장하여 검사해도 비반응성이 지속되면 심한
병적 상태로 판단)
3) Unsatisfactory : 태동이 없는 경우
cf) 불량한 예후를 의미하는 NST 결과 (Terminal cardiotocogram)
① Silent Oscillatory pattern : 기초 심박수 진동 (baseline oscillation)이 5 beat/min 이하
② Absent Acceleration
③ Late deceleration with Spontaneous uterine contractions
cf) NST 중 나타나는 태아 심박수 감소
: Nonstress test 도중, 태동과 관련되어 Prolonged deceleration이 나타나면,
양수 감소증과 관련된 진통 중 태아 곤란증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.
♣ 검사간격
*일반적으로 1주 간격으로 시행
* 고위험 임신군의 경우 1주에 2회 이상 시행
① IDDM
② 심한 만성 고혈압
③ 태아 발육 지연
④ 동종 면역성 질환
⑤ 지연 임신
[출처] 무자극 검사(Non stress test)|작성자 미스킴